[ESG특별기고] 한국무역협회, 회원사 ESG 진단 통한 중소기업 ESG경영에 대한 고찰
한국무역협회가 회원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진단 결과, 중소기업들의 ESG경영 역량은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공급망 실사 및 탄소국경세(CBAM) 대응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ESG 진단은 지난 7월 초부터 8월 20일까지 약 45일간 20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ESG 관련 교육은 5개 기업에 제공됐다. 협회는 진단을 통해 기업 맞춤형 300페이지 분량의 실행 진단 보고서를 제공했으며, 진단 결과는 각 기업의 ESG 전략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이 보고서는 CEO의 인식 수준부터 공급망 관리,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에너지 사용 현황, 글로벌 기준에 따른 실행 항목까지 종합적으로 다뤘다.
특히 진단에서는 공급망 내 원재료 가공과정의 온실가스 배출 정보 확보 여부, 제품 및 공정의 ESG 리스크 요소, 현재 사용 에너지원 분석, CBAM 대응 준비도 등이 면밀히 점검됐다. 또한 ESG 평가 체계는 GRI, RBA, CDP, SASB, 에코바디스 등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구성됐으며, 진단 대상 중소기업의 업종 특성을 반영한 ‘업종별 공급망 ESG 위험 Mapping’도 함께 제공됐다.
진단 결과에 따라 각 기업은 E(환경), S(사회), G(지배구조) 항목별로 3년 내 도달할 수 있는 목표와 개선 과제를 수립했다. 한국무역협회는 진단 기업에 글로벌 가이던스 50개 항목도 함께 제공하며, 중소기업의 ESG경영 체계 구축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중소기업들의 ESG경영에 대한 이해 부족과 실행 역량 미비가 여전히 문제로 지적됐다. ESG 전문가 양성과 진단 역량 확보에는 다년간의 학습과 실무 경험이 필요하나, 일부 교육기관은 단기간 과정만으로 전문가를 양산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실효성 부족 문제가 제기됐다.
대한민국ESG위원회 소속 전문가에 따르면 GRI, RBA, SASB, CDP, 에코바디스 등의 글로벌 표준을 제대로 이해하고 적용하기 위해서는 2년 이상의 학습과 현장 경험이 필요하다. 실제로 위원회는 264개 항목의 ESG 실행 기준을 구축하고, 전문가들에게 133시간 이상의 교육을 실시한 바 있다. 이러한 체계적 접근이 없이는 ESG 진단의 신뢰성과 효과를 담보하기 어렵다.
정부와 유관기관의 ESG 지원 정책도 보다 전략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최근 3~4년간 다양한 ESG 지원 사업이 이뤄졌으나, 중소기업의 체감도는 낮고, 실질적 역량 강화로 이어지지 못한 사례가 많았다. 특히 ESG의 기본 개념조차 명확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진행되는 교육과 컨설팅은 오히려 혼란을 가중시켰다는 지적도 있다.
중소기업이 효과적인 ESG경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CEO와 조직 구성원의 ESG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실행 의지가 우선돼야 한다. 또한 업종에 적합한 글로벌 기준에 따라 ESG 수준을 진단하고, 위험 요소를 파악해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Scope 1~3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RE100 대응 전략 등도 중장기적으로 마련돼야 한다.
궁극적으로 중소기업은 외부 지원에 의존하는 소극적 자세에서 벗어나 ESG를 기업의 성장과 혁신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삼아야 한다. ESG경영을 통해 기업이 지양해야 할 낡은 방식을 버리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설계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제조기업 CEO들은 품질과 원가 경쟁력만이 아닌, ESG가 곧 생존과 직결된다는 점을 명확히 인식해야 할 시점이다.
이번 ESG 진단을 마친 회원사 CEO들은 ESG경영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해소하고, 실행 전략 수립에 실질적 도움이 됐다며 협회의 지원에 감사를 전했다. 한국무역협회는 앞으로도 회원사들의 ESG역량 강화를 위해 실질적이고 현장 중심의 지원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