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홀딩스, 중대재해로 ESG등급 ‘경고등’
[SRT(에스알 타임스) 전지선 기자] 한국ESG평가원이 최근 연이은 중대재해로 인해 포스코홀딩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등급 하락 가능성을 경고했다.
7일 한국ESG평가원은 ‘ESG 컨트러버시 리포트’를 통해 “비상장 자회사인 포스코이앤씨에서 연이어 인명사고가 발생한 점이 사회(S) 부문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며, “포스코홀딩스의 ESG 종합등급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평가원은 포스코이앤씨의 사고가 안전보건 체계 미비, 재해 예방 실패, 근로자 고충처리 미흡, 관계사와의 공정거래 문제 등 복수의 평가 항목에서 감점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포스코이앤씨는 최근 발생한 사망 사고로 인해 브랜드 이미지 훼손, 수주 경쟁력 약화, 사고에 따른 재시공 및 보상 비용 증가 등 재무적·비재무적 손실이 복합적으로 누적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부정적 요인은 상장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의 ESG 평가에도 직접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현재 포스코홀딩스는 평가원 기준 종합등급 A를 받고 있으며, 환경(E) 부문은 탄소 배출이 많은 철강업 특성상 C+에 머물러 있다. 반면 사회(S)와 지배구조(G) 부문에서는 A+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유지 중이다.
그러나 평가원은 이번 포스코이앤씨 중대재해 여파로 S 부문이 1단계 이상 하락하고, G 부문 역시 강등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실제로 포스코그룹 산하 작업장에서는 올해 들어 7월까지 포스코이앤씨 4건, 광양제철소 1건 등 총 5건의 사망 사고가 발생했다.
ESG등급은 투자자와 금융기관이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판단하는 핵심 기준 중 하나다. 특히 최근 국내외 주요 기관투자자들이 ESG 리스크를 반영한 투자 전략을 강화하는 가운데, 이번 포스코그룹의 중대재해 이슈가 자금 조달 및 기업 신뢰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