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지속, 식품업체 60곳 6개월간 가격인상 릴레이

2025-06-02     박현주 기자
ⓒ어도비스톡

가공식품·외식물가 오름세 지속…업종 가릴 것 없는 가격인상 단행 영향도

내수부진으로 이어져 '악순환'…"새정부 출범 이후 대규모 지원 기대"

[SRT(에스알 타임스) 박현주 기자] 지난해 급등세였던 농산물 가격이 안정세로 접어들었지만 가공식품과 외식물가는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다. 이는 지난해 12월 계엄사태로 정국이 혼란한 것을 틈타 기업들이 제품가격을 잇따라 인상해서다. 동시에 정부의 물가안정컨트롤 타워가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4월 소비자물가 조사 결과 농축산물은 전년동월 대비 0.8% 소폭 상승하면서 안정세가 지속됐다. 전월대비로는 2.1% 감소했다. 하지만 가공식품과 외식부담은 지속됐다. 가공식품은 전월보다 0.6% 상승하고 전년보다는 4.1% 상승했다. 외식물가는 전월보다 0.5% 상승하고 전년보다는 3.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농림축산식품부는 가공식품 가격은 원재료 가격, 환율, 인건비 상승 등이 가격 인상 요인으로 외식은 식재료비·인건비·임차료·배달앱 수수료 부담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해 12월말부터 커피·아이스크림·과자·빵·주류 등 품목을 가릴 것 없이 최대 1000원 인상폭이 이뤄졌다. 원자재 가격·인건비 상승, 고환율에 식품제조·유통업체들이 일제히 가격을 올리면서다. 1월부터 커피업계에서는 스타벅스, 할리스, 폴바셋, 더벤티, 컴포즈 커피, 네스프레스 캡슐커피, 빵에서는 뚜레쥬르, 파리바게뜨 등이 있다. 이후 올해 6월까지 지속 가격인상이 이뤄졌다.

동서식품은 지난달 30일 주력제품인 커피믹스와 인스턴트 원두커피 등 제품 출고가를 평균 7.7% 올렸다. 동서식품이 지난해 11월 평균 8.9%를 인상한 지 6개월만이다.

빙그레는 요플레, 닥터캡슐 등의 발효유 제품 가격을 5월말부터 올린다고 했다. 요플레는 5.3%, 닥터캡슐은 4.0% 오른다. 이는 지난 3월 빙그레가 커피·과채음료와 아이스크림 일부 제품의 가격 인상을 추진한다고 밝힌 이후 약 2개월 만에 다른 제품 가격 인상에 나선 것이다.

서울우유도 지난 5월 1일부로 가공유·발효유·주스류 등 54개 제품의 출고가를 평균 7.5% 인상했다. hy는 야쿠르트 라이트 가격을13.6% 인상했다.

주류도 마찬가지다. 하이트진로는 지난달 28일부터 테라와 켈리 등 주요 맥주 제품의 출고가를 평균 2.7% 인상했다. 오비맥주는 4월 1일부터 카스·한맥 등 주요 맥주제품의 공장 출고가격을 평균 2.9% 인상했다.

또, 대표적인 가성비 가공식품에 해당하는 라면도 가격이 인상됐다. 농심은 3월 17일부터 총 56개 라면·스낵 브랜드 가운데 17개 브랜드의 출고가를 평균 7.2% 인상했다. 오뚜기는 4월 1일부로 총 27개의 라면 유형 중 16개 유형의 라면 제품 출고가를 평균 7.5% 인상했다. 팔도는 4월 14일부로 비빔면 4.5% 인상 등 라면·음료 브랜드 가격을 올렸다.

제과업체에서도 가격인상이 단행됐다. 오리온은 지난해 12월 1일부로 총 13개 제품의 가격을 평균 10.6% 인상했다. 롯데웰푸드는 지난 2월 건빙과 26종이며 평균 인상률은 9.5%다. 롯데웰푸드는 지난해 6월에도 가격인상한 지 8개월 만이다.

식품업계는 각종 원부재료 원가 상승에 따른 가격 인상 압박을 최대한 감내하지만 버틸 여력이 없는 곳은 가격을 올릴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정국이 혼란한 틈을 타 단기간에 여럿 업체들이 빈번하게 가격인상한 것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 관계자는 "식품·외식업체 등 60여곳이 단행했으며 이 같은 연쇄적인 가격 인상은 일정 부분 현재 불확실한 시기를 틈타 기업이 수익 확대에 집중한 결정"이라고 봤다. 그러면서 "가격 결정 과정에서 사회적 책임을 인식하고 신중하고 투명한 태도를 요구한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줄곧 지난해 12월부터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과 가격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두고 철저히 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향후 가격 인상 요인이 발생할 경우에도 소비자 부담 크게 늘지 않는 합리적인 수준에서 가격을 결정할 수 있도록 정부와 업계의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노력에도 식품업체들은 원부자재 가격인상과 수개월간 지속된 고환율에 따른 비용부담으로 제품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펴온 가운데 새정부 출범 이후에도 당분간 물가안정이 빠르게 이뤄지기는 어려워 보인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새정부 출범 이후 물가안정을 위해 대규모 지원이 이뤄질 것이라 본다"면서도 "당분간 물가 안정세를 되찾긴 쉽지 않을 듯"이라고 봤다. 이어 "특히 가격인상이 내수부진을 유발하고 있으니 시장을 살리기 위해선 정부의 AI·수출분야 지원 등 대규모 지원·투자가 필요해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