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 그래픽뉴스] 현대자동차그룹 지배구조 개편안
[SR(에스알)타임스 신숙희 기자] 현대차동차그룹이 미래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순환출자 등 정부 규제를 해소하기 위한 지배구조 개편 방안을 내놨다.
28일 현대차그룹은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 등 대주주와 그룹사 간 지분 매입·매각을 통해 기존 순환출자 고리를 모두 끊겠다"고 밝혔다.
이번 출자구조 재편은 사업구조 개편을 위한 ▲현대모비스–현대글로비스 분할합병 ▲지배구조 개편 차원의 그룹사와 대주주간 지분 매입·매각을 통한 순환출자 완전 해소 등으로 이뤄진다.
개편 시점은 현대모비스와 현대글로비스의 분할합병안이 각 사 주주총회를 거쳐, 현대모비스 주식이 변경상장되고, 합병 현대글로비스 신주가 추가 거래되는 7월 말 이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현재 현대차그룹의 순환출자 고리는 ▲기아차→모비스→현대차→기아차 ▲기아차→제철→모비스→현대차→기아차 ▲현대차→글로비스→모비스→현대차 ▲현대차→제철→모비스→현대차 등 총 4개다. 기아차가 현대모비스의 지분을 털어내면 고리가 모두 해소되는 구조로 돼 있다.
기아자동차, 현대글로비스, 현대제철은 분할합병 이후 다시 이사회를 열어 각 사의 현대모비스 지분을 대주주에게 매각하는 구체적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기아자동차, 현대글로비스, 현대제철은 현대모비스 지분을 각각 16.9%, 0.7%, 5.7%씩 보유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정몽구 회장, 정의선 부회장의 경우 기아자동차에 합병 현대글로비스 지분을 매각하는 등 분할합병 이후의 현대모비스 지분 인수를 위한 자금 마련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분거래가 모두 마무리되면 현대차그룹의 기존 4개 순환출자 고리는 완전히 소멸된다. 지분거래 이후 현대차그룹의 지배구조는 대주주, 현대모비스, 완성차, 개별 사업군 등으로 한층 단순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