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내부 IT인력 평균 93.7명…디지털 전환에 1년새 8%↑
[SRT(에스알 타임스) 이정우 기자] 금융권이 디지털 전환을 강화하면서 정보기술(IT) 인력을 꾸준히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는 2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2∼2023년도 금융정보화 추진 현황'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국내 금융회사 20개 국내 은행, 78개 금융투자업자, 39개 보험회사, 8개 신용카드사 등 총 145개의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조사해 IT 운영 현황 등 국내 금융정보화 관련 통계자료를 수록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 145개 금융회사의 내부 IT 인력은 평균 93.7명으로 1년새 8.0% 늘었다.
내부 IT 인력이 금융회사 전체 임직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2년 5.8%에서 2023년 6.3%로 높아졌다.
IT 업무별 인력 구성을 살펴보면 행정지원·기타 인력(21.4%→20.3%)은 축소됐다. 하지만 시스템 기획·설계·개발(59.1%→59.6%)과 시스템 운영(11.2%→11.7%) 인력 비중은 확대됐다.
국내 금융회사의 외부 IT 인력(외주 등 아웃소싱)은 지난해 말 기준 평균 100.3명으로 1년새 3.0% 늘었다. 하지만 내부 IT인력 증가율(8.0%)에는 못 미쳤다.
업종별로는 은행(58.7%)이 가장 높았다. 이어 금융투자업자(52.1%), 보험사(37.2%) 순이었다.
지난해 국내 금융회사의 IT 예산은 평균 651억원으로 조사됐다. 1년새 5.7% 증가했다. 금융회사 총예산 중 차지하는 비중은 10.7%다.
지난해 국내은행과 우체국 금융의 인터넷뱅킹 이용 건수와 금액(모바일뱅킹 포함)은 일평균 2,265만건, 82조56억원으로, 각각 14.9%, 7.4% 늘었다.
같은 기간 금융투자회사의 인터넷트레이딩 이용 건수와 금액은 일평균 3,136만건, 60조7천162억원으로, 각각 15.1%, 11.2%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에 설치된 현금자동인출기(CD)와 현금자동입출금기(ATM)는 11만2,552대로 1년새 2.7%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