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LFP 배터리 양극재 신규 제조공법 개발 협력

2024-09-26     선호균 기자
▲지난 25일 대전시 동구 선샤인호텔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한 정순준 현대차·기아 전동화구동재료개발실 상무(오른쪽)와 임희중 현대제철 선행개발실 상무(왼쪽), 서준원 에코프로비엠 연구기획담당 전무 등이 각 사 연구과제에 대해 설명하고 앞으로의 지속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현대차·기아

현대제철·에코프로비엠과 전구체 없는 직접합성법 기술 개발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미래 전기차 배터리 경쟁력 확보에 박차를 가한다. 

현대차·기아는 현대제철, 에코프로비엠과 함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양극재 기술 개발 과제에 착수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LFP 배터리 양극재 제조 시 전구체 없이 직접 재료를 합성하는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지원하는 ‘LFP 배터리 기술 개발’ 과제로 총 4년간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LFP 배터리의 양극재는 인산염, 황산철 등을 합성한 전구체에 리튬을 첨가해 생산한다. 전구체는 생체 대사나 화학 반응에서 최종 합성물을 만들기 전 단계의 물질을 말한다. 

이번 협력을 통해 확보하고자 하는 직접합성법은 별도의 전구체를 제작하지 않고 인산, 철(Fe), 분말, 리튬을 동시 조합해 양극재를 만드는 기술이다. 전구체를 만드는 단계가 삭제돼 공정 중 발생하는 유해물질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생산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직접합성법을 통한 효율적인 양극재 생산을 위해서는 불순물이 없고 균일한 입자의 원료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현대차·기아는 현대제철과 함께 국내 재활용 철을 가공한 고순도 미세 철 분말 공정기술을 개발한다. 에코프로비엠도 이를 활용해 직접 합성 LFP 양극재 개발에 나선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앞으로 전기차 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배터리 기술 개발과 효과적인 재료 공급망 구축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과제를 통해 해외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필요 기술을 내재화해 국가와 현대차그룹의 기술 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