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운전자, 사고 비중 13% 높아…피해자 중상 비율↑

2024-07-07     유수환 기자

[SRT(에스알 타임스) 유수환 기자] 최근 시청역 역주행 사고 등 고령 운전자의 자동차 사고가 연이어 발생한 가운데 만 65세 이상 고령운전자가 일으키는 사고가 상대적으로 높고, 중상자 비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지난해 보험에 가입된 주피보험자 기준 65세 이상 운전자의 계약 건수는 258만6,338건, 사고 건수는 11만8,287건으로 사고율은 4.57%로 집계됐다.

반면, 65세 미만 운전자의 사고율은 4.04%(계약 건수 1,828만7,065건, 사고 건수 73만9,902건)였다. 65세 이상 운전자 사고율은 65세 미만의 1.13배 수준이다.

65세 이상 운전자가 낸 사고는 피해자 수도 더 많았고, 사고 심도를 나타내는 사고 피해자의 중상 비율도 더 높았다.

보험사의 손해율 역시 고령 운전자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고령 운전자의 사고 빈도와 심도가 더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손해율이란 보험사가 가입자에게 받은 보험료 가운데 사고가 생겨 피해자에게 지급한 보험금의 비율을 뜻한다. 지난해 기준 65세 이상 운전자에 대한 손해율은 80.2%로, 65세 미만 운전자(76.3%)와 비교해 4%포인트(p) 높았다.

65세 이상 운전자의 평균 사고가액(손해액/사고건수)은 481만2,659원, 65세 미만 운전자의 평균 사고가액은 446만6,566원이었다.

앞서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도 70세 이상 고령 운전자부터 교통사고 위험도가 뚜렷하게 증가하고, 80세 이상부터는 사고 위험도가 더 가파르게 높아진다고 분석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