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난기류 대비 안전운항 위한 서비스 절차 개편
[SRT(에스알 타임스) 최나리 기자] 대한항공이 난기류로 인한 승객 및 승무원의 부상 방지와 안전한 비행을 위해 객실 서비스 절차를 개편한다고 2일 밝혔다.
대한항공은 이달 1일부로 중·장거리 전 노선을 대상으로 객실 서비스 종료 시점을 최대 20분 앞당긴다. 이번 서비스 절차 개편은 안전 업무에 집중해 난기류 증가에 따른 승객과 승무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기존에는 항공기가 하강을 시작하는 시점에도 본격적인 착륙 준비 전까지 객실 서비스를 실시해 왔지만, 앞으로는 착륙 40분 전까지 모든 객실 서비스가 마무리된다.
최근 난기류는 지속적으로 발생 증가 추세다. 2019년 1분기 대비 2024년에 난기류 발생 수치는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항공기가 고도를 낮추는 시점에 고도 간 큰 온도차이로 인한 상승기류 발생이 빈번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항공은 이를 주시하고 항공기가 하강을 시작하는 시점 이전에 모든 객실 서비스를 종료하는 방침을 세웠다고 설명했다. 또한, 난기류 증가 추세에 대비해 승객의 안전과 편의를 모두 충족시키기 위한 서비스 개선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대한항공은 비행 중 예상치 못한 난기류를 만날 경우를 대비해 승객들의 안전 수칙 준수도 당부했다.
우선 예상 가능한 난기류 지역을 통과할 경우 기내에는 신호음과 함께 좌석벨트 착용(Fasten Seat Belt) 표시등이 켜진다. 이때 모든 승객은 반드시 승무원들의 안내에 따라 지체하지 말고 착석 후 좌석벨트를 착용해야 한다.
무엇보다 좌석벨트 표시등이 점등돼 있을 시 난기류 지역을 지나고 있다는 의미로, 조금 불편하더라도 화장실 사용은 최대한 지양해야 한다.
갑작스레 조우하는 난기류나 예측이 어려운 청천난류(CAT·Clear Air Turbulence)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좌석벨트 착용 표시등과 상관없이 항상 좌석벨트를 착용하고 있는 것이 안전하다.
또한, 휴대 수하물은 선반 안에 넣거나 앞 좌석 아래 공간에 두어야 한다. 수하물을 지정된 장소에 보관하지 않을 경우 기체가 흔들릴 때 수하물로 인해 다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절대적인 안전운항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글로벌 선도 항공사로서 항공 여행 안전에 대한 고객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