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 끝 자영업자, 다중채무 연체액 코로나 이후 약 2배↑
[SRT(에스알 타임스) 유수환 기자] 자영업자들의 금융기관 대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1.5배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3개월 이상 연체가 발생한 차주(자영업자)의 대출 규모는 2배 가까이 늘어났다.
1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신용평가기관 나이스평가정보로부터 제출받은 개인사업자 가계·사업자 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335만9590명의 자영업자들은 금융사에 가계대출과 사업자대출 등 총 1112조7400억원의 대출을 빌렸다.
코로나19 이전 2019년 말 대비 대출자는 60%, 대출금액은 51% 늘어난 것이다. 이 가운데 3개월 이상 연체가 발생한 상환 위험 차주의 전체 보유 대출 규모는 같은 기간 15조6200억원에서 31조3000억원으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연체 차주의 대출 증가 속도는 1년 전 대비 53.4% 늘어났다. 금융사 3곳 이상 대출을 빌린 다중채무자의 상황은 더욱 악화됐다. 지난 3월 말 전체 다중채무 개인사업자는 172만7351명으로, 전체 개인사업 대출자 가운데 절반 이상인 51.4%를 차지했다.
연체 다중채무 개인사업자의 대출잔액은 24조7500억원으로 2019년 말(12조1200억원) 대비 두 배 이상 늘어났다.
5대 은행으로부터 빌린 자영업자들의 대출 연체액도 급증했다.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 따르면, 개인사업자 대출 총액 가운데 1개월 이상 원리금을 상환하지 못한 연체금액은 올 1분기(1~3월) 말 기준 1조356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 말(9870억원)보다 37.4% 증가했다. 같은 기간 대출 총액이 314조6860억원에서 322조3690억원으로 2.4% 증가한 점을 고려하면, 연체금액이 늘어나는 속도가 더 빠른 셈이다. 5대 은행 평균 연체율은 0.42%로, 전년(0.31%) 대비 상승했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말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높은 대출금리 부담이 지속되면서 자영업자의 소득 여건 개선이 지연되고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부진한 모습을 보일 경우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부실 규모가 확대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