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호동 농협회장, 농협조합장에 월 ‘100만원’ 지원…“지나친 포퓰리즘”
강 회장 “7월부터 지역농협 조합장에게 월 100만원 지급”
농협중앙회 고위임원 “관련 규정 개정 검토” 즉답 회피
연간 ‘133억원’ 예산 필요 '논란'
[SRT(에스알 타임스) 전근홍 기자] 농협중앙회가 오는 7월부터 ‘농정활동비’ 명목으로 전국 1,111개 지역농협의 조합장에게 매월 개별 지원금 100만원씩 지급하기로 했다는 복수의 관계자 증언이 나와 논란이 예상된다.
농협중앙회와 지역농협은 법인이 다르다. 이 같은 문제로 농협 시·군지부를 통해 활동비를 우회 지급하겠다는 것이 농협중앙회의 설명이다. 지역농협 조합장들이 모여 만든 운영협의회의 규정에 명시된 것도 아닌데다 한해 예산만 133억원을 웃돌아 재원 마련 등에서도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2일 본지 취재에 따르면 농협중앙회는 지난달 25일 경기도 고양시 소재 킨텍스에서 ‘2024 조합장 소통 공감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의 ‘조합장과의 만남의 날 정례화’ 공약 이행의 일환으로 진행된 것이다.
이번 행사에서 강 회장은 전국 1,111명 조합장에게 7월부터 농협 시·군지부를 통해 농정활동비를 매월 각 100만원씩 지급하겠다고 발언했다. 25대 농협중앙회장 선거에 출마한 강 회장이 발표한 공약이다.
단순계산으로 매월 11억1,100만원의 예산이 필요하며 연간으로는 133억3,200만원의 재원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두고 농협중앙회 고위 임원은 “기존에 지역농협 조합장들이 참여하는 운영협의회가 있는데, 운영협의회 예산을 늘리는 방식으로 해서 각 조합장에게 매월 100만원씩 지급하기 위해 협의회 규정을 고치려 하고 있다”며 “시행을 당장 하겠다는 것은 아니고 검토를 하겠다고 한 것으로 보면 된다”고 즉답을 피했다.
그러면서 해당 임원은 “전국 조합장들의 사기를 끌어올리는 차원에서 농정활동비 명목으로 지급하겠다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농협중앙회는 크게 지역단위 농협의 교육지원과 경제·금융부문 지원 역할을 수행한다. 교육지원의 경우 농·축협 육성, 농업인의 복지증진, 농정활동을 위한 교육사업을 말한다. 경제부문 지원은 영농자재, 도매사업, 소비자 유통활성화을 위한 역할 수행을 목적으로 한다. 금융부문은 농촌지역의 농업금융 서비스 제공을 통해 조합원의 편익 도모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문제는 농협중앙회가 수익사업을 하는 곳이 아니라는 점이다. 사실상 경제부문의 농협경제지주와 금융부문의 농협금융지주를 통해 ‘농업지원사업비(명칭사용료)’를 거둬 이를 재원으로 중앙회 차원의 사업을 시행한다. 사업을 진행함에 있어 회계 처리의 투명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는 것이다.
실제 농협금융지주는 순이익이 31.2% 대폭 하락했음에도 이번 1분기 실적발표에서 농업인·농업·농촌 지원을 위한 농업지원사업비를 1,528억원으로 책정했다. 작년 1분기 말 농업지원사업비는 1,232억원으로, 올해는 이보다 296억원이 더 증가한 것이다.
반면 농협금융지주는 올 1분기 취약계층 및 지역 소외계층지원을 위해 책정한 사회공헌금액은 91억원으로 작년 1분기말 373억원과 비교해 282억원이나 대폭 삭감했다.
A지역 단위농협 관계자는 “농협중앙회가 무슨 예산이 있어서 조합장들 활동비로 월 100만원씩 지급하겠다는 것인지 이해가 되질 않는다”며 “농협중앙회 차원의 부채가 '조'단위인데, 도대체 어떤 재원으로 지급할 것인지 문제가 많아 보인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만일 조합장 쌈짓돈으로 100만원 씩 준다면, 연간 예산이 133억원 이상인데 이걸 두고 농민 단체나 정부가 가만히 있질 않을 것”이라고 일갈했다.
B지역 단위농협 관계자는 “(회계처리도 문제고) 농협중앙회에서 정치인 흉내를 내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다”며 “현 회장의 임기가 마무리 될 시기가 돼 (농협법 개정 이슈가 불거질 때) 연임을 하기 위해 선심성 행정(포퓰리즘)을 하는 것이 아닌지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농협중앙회장 선거가 지역농협 조합장들이 유권자인데 이를 감안해 벌어지는 행태로 보인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