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퀄컴, 오픈랜 기술 ‘기지국 지능형 컨트롤러’ 검증 성공

2024-04-22     선호균 기자
▲서울 강서구에 있는 LG유플러스 마곡사옥에서 직원들이 퀄컴의 오픈랜 RIC 솔루션을 검증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인공지능·머신러닝, 통신사 단독기지국 성능개선 작업수행 가능성 확인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LG유플러스와 퀄컴 테크놀로지가 개방형무선접속망(오픈랜, O-RAN) 기술인 ‘기지국 지능형 컨트롤러(RIC)’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실증하는데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LG유플러스에 의하면 전통적인 무선접속망은 단일 통신장비 벤더사가 공급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장비 세트로 구성된다. 반면 차세대 기술로 각광받는 오픈랜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해 서로 다른 장비 제조사가 공급한 표준 장비를 조합할 수 있다. 

RIC는 오픈랜의 핵심 기술로 미래 네트워크에서 대규모 트래픽 관리와 네트워크 슬라이싱 등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통신사가 RIC를 운용하면 목적에 따라 스마트폰처럼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 인공지능(AI)·머신러닝(ML) 등 필요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네트워크 수익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LG유플러스는 전망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퀄컴의 엣지와이즈 RIC 솔루션의 성능과 안정성 관련해 LG유플러스와 퀄컴은 각각 마곡사옥과 퀄컴 랩에서 공동 검증을 진행중이다. 이 솔루션은 AI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발생되는 트래픽 상황을 감지하고 이에 최적화된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산출한다. 

이는 운영자의 추가 개입 없이도 최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 LG유플러스는 이번 검증으로 글로벌 장비제조사들이 과점하고 있는 기지국 소프트웨어 시장에 국내 중소 소프트웨어 공급사들이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상헌 LG유플러스 네트워크선행개발담당은 “개방형 기지국의 구축과 운영을 위한 핵심 기술 요소인 퀄컴의 기지국 지능형 컨트롤러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을 확인할 수 있게 돼 뜻깊다”며 “앞으로 국내에 새로운 기지국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구축하고 차별적인 고객가치를 제공하는 이정표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