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료값 하락했는데 식품물가 오름세 여전…'그리드플레이션'?
식품기업 영업익 호조…"기업만 이익 아닌지 의심" 지적 나와
[SRT(에스알 타임스) 박현주 기자] 식품물가 오름세가 이어지며 기업의 이윤 추구가 물가상승(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그리드플레이션'(Greedflation)이 대두됐다. 식품 주원료인 밀, 옥수수 등 원자재값이 하락하고 있음에도 식품기업들의 실적은 호조세를 보여서다. 원자재값이 상승했을 때는 즉각적으로 식품가격에 반영해 가격을 올리면서도 원자재값이 하락했을 때는 반영하지 않거나 반영이 늦다는 지적이다.
1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시카고상품거래소(CBOT) 선물 시장 등에서 이달 밀의 부셸(곡물 중량 단위·1부셸=27.2kg)당 가격은 평균 5.69달러였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가격이 올랐던 지난해 5월 평균 가격(11.46달러)에 비해 50.3% 하락했다. 다른 식품 주원료인 대두는 지난해 3월 16.73달러까지 올랐다가 이달 13.40달러로 19.9% 하락했다. 팜유(-41.8%), 옥수수(-39.4%), 대두유(-38.3%) 등의 가격도 지난해 5월 정점 대비 내림폭이 컸다.
주요 식품 원자재값의 이같은 하락세에도 소비자 체감 물가 상승 폭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가공식품 물가는 전년동기 대비 7.6% 상승했다. 외식물가는 올해 같은 기간 6.4% 상승했다.
이에 따라 식품기업들이 '그리드 플레이션'을 유발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됐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지난 10일 성명을 내고 "원재료값이 하락한 상황에서도 기업들만의 이익만을 채우고 있는 것이 아닌지 의심스럽다"며 "원재료 가격이 뚜렷한 하락세로 나타난 만큼 소비자 가격 역시 조정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본 협의회에서 분석한 2023년 반기 영업실적 결과를 보면 대표적인 예로 농심은 올해 반기 영업이익은 204.5% 증가했고, 오뚜기도 21.7%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에 대해 식품업체는 밀, 옥수수뿐 아니라 다른 원자재 중에서도 가격이 상승한 품목이 있고 원자재 외에도 인건비, 연구개발비 등 다른 비용 항목들도 제품가격 산정에 반영되기 때문에 폭리, Greed(탐욕) 식의 표현을 쓰는 것은 과하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