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주의 食·酒] <2> '김혜자 도시락'

2023-04-13     박현주 기자

'식(食)·주(酒)'. 음식과 술은 불가분의 관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맛있는 음식은 술을 부르고, 술을 맛있게 먹기 위해 음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이후 면역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관리를 맛있게 먹으면서 하겠다는 헬시플레저가 '食'의 키워드로 떠올랐다. 혼자 술을 마시는 '혼술'과 술과 음료를 혼합해 즐기는 '믹솔로지'는 '酒'의 트렌드다. 유통·주류업계에서는 각각의 트렌드를 반영해 기존 제품들을 리뉴얼하거나 신제품을 내놓고 있다. 이에 기자가 맛본 제품의 생생한 체험기를 전한다. <편집자주>

 

▲GS25 '혜자로운 집밥, 너비아니&닭강정'. ⓒ박현주 기자

너비아니·닭강정·볶음김치·계란·밥 등 반찬 조합 '훌륭'

너비아니·닭강정 '분쇄가공육'…"집밥 느낌은 아니다"

[SRT(에스알 타임스) 박현주 기자] 편의점들이 저마다 가성비 도시락을 내놓고 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고물가 여파에 가성비 도시락으로 점심을 해결하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어서다. 고물가로 일명 점심(lunch)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인 '런치플레이션'이라는 신조어까지 생겼다. 

이런 가운데 편의점 GS25가 이달 단돈 350원짜리 도시락을 내놨다. 이름은 '혜자로운 집밥, 너비아니&닭강정'과 '혜자로운 집반, 오징어불고기' 2종이다. 일명 김혜자 도시락. 

배우 김혜자는 1980년대 조미료 브랜드 미원의 모델이었다. 동시에 농촌 동네 가정집의 일상을 그린 전원일기의 배우로 오랫동안 활동했다. 국민엄마로 불렸다.

이번 GS25의 도시락은 이같은 배우 김혜자의 이름을 전면에 내세웠다. 맛과 집밥에 대한 기대감을 품게 한다. 

기자는 지난 10일 '혜자로운 집밥, 너비아니&닭강정' 맛봤다.

해당 도시락은 너비아니·닭강정·볶음김치·어묵·시금치·김 등의 6개 반찬, 그리고 계란후라이가 얹어진 밥으로 구성됐다.

먼저 도시락 겉에 표시된 영양정보에 따르면 총 내용량 423g으로 692칼로리, 나트륨은 1,031mg이다.

세븐일레븐 주현영 제육쌈비빕밥 도시락은 내용량 412g, 열량 750칼로리, 나트륨 1,940g이다. CU 백종원 제육한판 도시락은 내용량 440g, 열량 795칼로리, 나트륨 1,270mg이다.

이를 비교하면 '혜자로운 집밥, 너비아니&닭강정'의 내용량은 400g대로 평균치이다. 칼로리는 타사보다 상대적으로 낮다.

또, 메인 반찬인 너비아니는 분쇄가공육제품1로 돼지고기(지방일부사용·국산), 양파(국산), 기타가공품, 떡갈비양념장 등으로 구성됐다. 닭강정은 분쇄가공육제품2로 닭고기(브라질산), 혼합식용유(콩기름·외국산), 곡류가공품1, 전분 등으로 구성됐다.

▲너비아니. ⓒ박현주 기자
▲닭강정. ⓒ박현주 기자

너비아니는 상당히 두툼했다. 간도 적절했다. 닭강정은 4알로 구성됐고 닭고기가 실하게 차있는 편. 이 두 반찬이 메인이다. 

함께 먹으니 음식을 넘길 때 목구멍에 꽉 찬 듯한 느낌이 들었다. 여기에 어묵알을 먹으니 포만감이 다가왔다.

볶음김치와 시금치는 편의점 도시락에서 '찬 구성을 더하기 위해 들어가 있을 뿐'이라고 생각하기 쉬운 소량의 채소 반찬이다. 이 반찬은 너비아니와 닭강정의 맛을 개운하게 해줬다.

밥은 윤기가 나고 촉촉한 편. 특히 밥에 계란프라이가 얹어져 있어 옛날 도시락 조합을 떠올리게 했다.

계란프라이는 반숙이다. 그래서 밥에 계란프라이와 김치를 함께 먹으니 '환상의 조합'이었다.

▲밥, 계란프라이, 볶음김치의 조합. ⓒ박현주 기자

전체적으로 반찬들간의 조화가 괜찮아보였으며 가격 대비 푸짐하고 다양하게 먹을 수 있는 도시락이었다.

다만, 편의점 도시락에서 집밥 느낌을 받지는 못했다. 메인 반찬인 너비아니와 닭강정이 분쇄가공육에 해당하기 때문에 재료 본연의 신선함과 따뜻함이 깃든 집밥이라기에는 부족해보였다. 

GS25는 이 도시락은 단돈 350원이라고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하지만 350원에 구매하려면 번거러운 절차를 거쳐야 한다. SK텔레콤 T멤버십 0day 50% 할인 쿠폰, GS25 구독 서비스 우리동네 GS클럽 한끼 20% 혜택, 카카오페이 결제 시 1,000원 페이백, 300원 할인 QR 등을 적용해야 한다.

350원에 구매할 수 있는 기간도 이달말까지로 한시적이다. 이후에는 4,900원을 내야 사 먹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