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5대 그룹 일본법인 45곳…전체 해외법인의 2%

2023-03-16     김건 기자
ⓒ한국CXO연구소

한국CXO연구소, 5대 그룹 일본 법인 현황 등 분석결과

[SRT(에스알 타임스) 김건 기자] 삼성, SK, 현대차, LG, 롯데 등 국내 5대 그룹이 일본에 세운 법인이 45곳으로 5대 그룹 전체 해외법인의 2%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7월 시행된 일본의 수출규제가 한국 전자산업에 별다른 피해를 주지 않았다는 분석도 나왔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16일 '5대 그룹 일본 법인 현황 및 일본 수출규제가 국내 전자업체 경영 실적에 미친 영향 분석'을 발표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5대 그룹이 세운 해외 계열사는 2,082곳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일본에 세운 법인은 45곳으로 5대 그룹 전체 해외법인의 2.2%에 그쳤다.

그룹별 일본 법인 수는 SK 15곳, LG 14곳, 삼성 8곳, 롯데 5곳, 현대차 3곳이다.

대표적으로 SK하이닉스는 반도체 판매업 분야의 SK하이닉스 재팬(SK hynix Japan), LG전자는 전자제품 판매 분야인 LG일렉트로닉 재팬(LG Electronics Japan), 현대차는 일본 내 완성차 및 부품판매 분야 현대모빌리티 재팬(HYUNDAI MOBILITY JAPAN), 삼성전자는 전자제품 판매 분야 삼성 재팬(Samsung Japan Corporation),롯데케미칼은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도매업분야 롯데케미칼 재팬(LOTTE Chemical Japan) 등의 일본법인을 설립했다.

CXO연구소는 또 일본의 수출규제가 오히려 국내 전자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전자업종 상위 100곳의 매출은 2019년 271조3,000억원에서 2021년 352조5,000억원으로 약 30% 늘어났다.

같은 기간 100대 전자업체의 영업이익은 16조9,000억원에서 50조2,000억원으로 약 2배 급증했다.

일본의 수출 규제로 국내 진출한 일본 기업이 역풍을 맞을 것이란 예상도 빗나갔다.

국내 법인의 지분을 50% 넘게 보유한 주요 33개 일본 기업의 매출은 2019년 10조746억원에서 11조3,950억원으로 13%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익은 5,172억원에서 7,682억원으로 49% 늘었다.

오일선 CXO연구소 소장은 “우리나라를 상대로 수출규제를 단행한 일본의 경제 압박 전략은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며 “일본의 수출규제로 인해 한국 기업들은 소재·부품·장비 업종에 있는 소부장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