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 질환은 만성이 되기 쉽다.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위장 등 소화기 질환 극복법을 김영근 위맑음한의원 원장이 연재한다. <편집자 주>

 

▲ⓒ김영근 위맑음한의원장
▲ⓒ김영근 위맑음한의원장

“물만 먹어도 속이 막히는 것 같다.” 오랜 기간 위무력증(胃無力症)을 앓는 사람의 극단적인 불편함 표현이다. 위무력증은 한자 의미대로 위가 힘이 없는 증상이다. 위벽의 근 긴장이 떨어져 연동운동이 감소된 상태다. 힘이 없는 위는 정상적인 운동력과는 거리가 멀게 된다.

오장육부의 기능 표현 중에 위에만 힘이 없다는 무력(無力)을 쓴다. 이는 위의 기능이 떨어지면 움직임, 즉 운동력 저하가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위무력증의 주된 원인은 노화다. 나이가 들수록 몸의 근육이 약해진다. 위장 근육도 약해지며 위의 무력증이 생긴다.

과식, 폭식, 불규칙한 식사, 자극성 음식섭취, 빠른 식사 습관, 스트레스 등도 위무력증의 원인이다. 잦은 음주와 흡연, 지속된 당뇨병, 수술 후유증, 식후 눕는 등의 습관도 소화 장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식후 복부 팽만감, 뱃속의 더부룩함과 불쾌감, 소화불량, 상복부 답답함, 구토, 메스꺼움, 식욕부진 등의 다양한 소화기질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위무력증이 심하면 조금 많이 먹기만 하면 어김없이 명치끝이 불편해지고, 체중 감소, 영양 결핍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증상은 장기적이고 몹시 힘들지만 특별한 원인 질환을 찾기도 어렵다. 이 같은 위무력증으로 인한 소화 장애를 한방에서는 식적(食積)으로도 풀이한다.

식적은 담의 축적으로 기혈 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것이다. 그 결과 음식의 기운이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체내에 쌓인다. 식적이 생기면 위장의 운동성이 떨어진다. 또 체내 수액 대사가 활발하지 못해 몸이 잘 붓고 만성피로와 복부 팽만감을 느끼게 된다. 기력도 없고 맥도 약해진다.

위의 움직임을 관장하는 비위의 떨어진 기능은 인삼 황기 복령 창출 등으로 북돋을 수 있다. 또 기혈순환 촉진 등 식적 제거 약재를 체질과 증상에 맞게 처방하면 만성 소화불량 등이 크게 호전된다.

 

<글쓴이> 김영근

태원의학회 수석교수로 위맑음한의원장이다. 20년 넘는 기간 동안 만성 소화기질환 연구와 치료에 매진하고 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