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뉴스화면 캡쳐
ⓒSBS뉴스화면 캡쳐

- 지난해 기업 매출액 증가율 4년 만에 0%대 ↓

- 수익·성장·안정성 모두↓…미중 무역 마찰 영향

[SR(에스알)타임스 전근홍 기자] 지난해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못내는 잠재적 한계기업의 비중은 역대 최고 수준에 달했다. 국내 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 안정성이 모두 둔화된 것. 미중 무역 갈등 등으로 글로벌 통상 환경이 위축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21일 한국은행이 74만1408개의 비금융 영리법인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9년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매출액 증가율은 2018년 4%에서 0.4%로 감소했다. 매출액 증가율이 0%대를 기록한 건 2015년(0.26%) 이후 처음이다.

김대진 한은 경제통계국 기업통계팀장은 “지난해에 주요국 성장세가 둔화됐고 글로벌 통상 무역 마찰이 잦아 기업환경이 좋지 않았는데, 이러한 영향으로 매출과 영업이익 증가율이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이 지난해 4.0%에서 -1.7%로 둔화됐다. 화학제품(9.8 → -5.2%)은 가격 하락 타격을 받았고 전자영상통신장비(3.4 → -8.1%)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주요 수출품의 판매 부진 영향으로 매출액이 큰 폭으로 줄었다. 전기·가스업은 이상기후로 인한 난방일수가 줄면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총자산 증가율은 5.8%에서 6.1%로 소폭 늘었다. 이는 부동산 가격 상승과 리스회계기준 변경으로 건설과 도소매업을 중심으로 비제조업의 총자산 증가율이 6.3%에서 8.1%로 상승했기 때문이다. 2019년부터 IFR16리스 시행으로 운용리스는 자산 및 부채로 분류됐다. 반면, 제조업은 5.1%에서 3.3%로 줄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부진했다. 대기업의 매출액증가율이 2.7%에서 -2.3%로 하락했다. 이는 2015년 -4.14% 이후로 가장 낮다. 총자산증가율은 3.3%에서 3.8%로 상승했다. 중소기업의 경우 매출액증가율(5.9% → 4.2%)과 총자산증가율(10.9%→10.1%)이 모두 둔화됐다.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영업이익률은 5.6%에서 4.2%로 떨어졌다. 제조업의 경우 전자영상통신장비와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7.3%에서 4.4%로 하락했다. 비제조업도 4.3%에서 4.0%로 소폭 내렸다.

규모별로는 대기업이 7.2%에서 4.8%로 하락했다. 이는 기업경영분석 전수조사가 시작된 2009년 이래로 가장 큰 규모다. 중소기업은 3.5%에서 3.4%로 내렸다. 

부채비율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크게 확대됐다. 회사채 발행이 확대되고 회계기준 변경으로 운용리스가 많은 운수업과 유통업을 중심으로 111.1%에서 115.7%로 올랐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의 부채비율(73.6% → 73.5%)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지만 차입금 의존도(22.3% → 22.8%)는 소폭 상승했다. 비제조업의 부채비율(149.2% → 157.8%)과 차입금 의존도(33.4%→34.0%)는 모두 올랐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