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5세 이상 심혈관질환자의 증가율은 8.62%

-정부, 예방-치료-관리의 전주기적 관점에서 5대 전략 추진

[SR(에스알)타임스 심우진 기자]

우리사회에서 급속한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심뇌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4일 “심뇌혈관질환 걱정 없는 건강한 사회”를 비전으로, 예방-치료-관리’의 전주기적인 관점에서 5대 전략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심뇌혈관질환은 심근경색, 심부전, 심정지 등의 심장질환과 뇌졸중, 뇌경색 등의 뇌혈관 질환이 포함되어 있다. 고혈압, 당뇨병 등도 심뇌혈관질환으로 분류된다.

 

2017년 현재 심뇌혈관으로 인한 사망은 우리나라 전체 사망원인의 24.3%을 차지하고 있다. 인구 10만명 당 사망원인도 암이 153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이 심장질환(58.2명), 3위 뇌혈관질환(45.8명) 등의 순이었다.

이에 따른 진료비부담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2016년 공개된 건강보험통게연보에 따르면 심뇌혈관질환 진료실인원은 2015년 1,043만명에서 2016년에는 1,089만명으로 4.4%인 46만 5,000명이 증가하였다. 진료비는 2015년 8조9,000억원에서 9.1%인 8,000억원이나 급증한 9조6,000억원이었다.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2006~2015년 사이에 연평균 6.5%씩 증가하여, 2006년 11조원에서 2012년에는 16조9,000억원, 2015년 19조6,000억원으로 각각 증가하였다.

 

심뇌혈관질환은 특히 65세 이상 인구에서 많이 발생하며, 이들에 대한 진료비 비중도 높다. 2010~2014년 사이 65세 이상 인구 증가율은 4.32%인데 비해 같은 기간 65세 이상 심혈관질환자의 증가율은 8.62%로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빠른 인구 고령화로 2017년 고령사회(14%)에 진입한 이후,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20%)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른 사회경제적 비용도 급속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처럼 심뇌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급증하게 되자 정부는 지난 해 5월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건복지부 주관으로 제1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안(2018~2022)을 마련한 것이다.

 

종합계획안은 뇌심혈관질환 대책을 전주기(예방-치료-관리) 관점에서 수립하는 한편 중앙-권역-지역을 연계하는 안전망 구축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특히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초기대응에 대한 국민들의 인지도가 미흡하다고 보고 이에 대한 대책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정부가 추진키로 한 5대 전략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국민인식개선과 건강한 생활실천=금연, 절주, 나트륨 섭취 감소 등을 권장하는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벌인다. 질환의 증상과 대처방법에 대한 정보제공을 강화하고, 심폐소생술 등 초기 대응 방법 교육을 확대한다. 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시・도, 보건소)와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의 협업을 강화한다.

 

△고위험군 및 선행질환 관리강화=동네의원 중심으로 만성질환(고혈압・당뇨병) 환자에 대한 등록・상담・교육 등 일상생활 속 생활습관 개선과 자가(自家)관리를 지원하는 체계를 강화한다.

 

△지역사회 응급대응 및 치료역량 강화=현재 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 중심의 안전망을 중앙-권역-지역(일차)심뇌혈관질환센터로 연계되도록 안전망을 확충한다. 현재 14개의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가 지정되어 있다. 그 중 11개소가 운영 중이며, 3개소는 운영 준비 중이다.

 

△환자 지속관리체계 구축= 퇴원한 환자에게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신속하게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종합지원 체계를 마련한다. 지역사회 내 재활서비스 제공체계도 마련할 계획이다. 2019년부터는 재활의료기관 연계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연구개발 강화=2019년에 심뇌혈관질환 분야 연구개발 5개년 종합계획을 수립한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